이번 포스트시즌은 모두 원사이드로 끝났습니다.
샌박을 2:1로 꺽고 올라온 담원이 킹존에게 3:0
그 킹존이 SKT에게 3:0
SKT가 결승에서 기다리던 그리핀을 3:0으로 꺾으면서 결국 우승합니다.
샌박과 담원은 솔직히 비등할거라 생각했는데요
선수 개개인의 능력은 담원이 우세, 운영은 샌박이 우세할거라고 예상했었습니다.
그러나 긴장때문인지 아니면 2위에서 4위까지 미끄러진 충격이었는지 샌박의 운영은 영 좋지 못했고
2세트에서 미드원딜의 하드캐리로 동점까지 갔으나 거기까지였습니다.
담원과 킹존은 솔직히 킹존이 압도적으로 강해보였습니다.
그나마 탑에서 플레임 너구리 VS 라스칼만이 담원에게 유리해보였는데요.
라스칼 선수도 잘 버티고 커즈선수도 의도적으로 스플릿하는 너구리선수를 계속 짜르면서 3:0으로 시원하게 승리했습니다.
킹존의 기세가 하늘을 찌를듯이 높아서 SKT전도 매우 기대됐었죠.
SKT와 킹존은 SKT의 우세가 점쳐지긴 했습니다.
팀 상성이라는게 은근히 무시할수도 없고 킹존이 정규시즌에서도 SKT에게 유독 불리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탑 스플릿을 짜르면서 라스칼을 커버해준다는 전략도 이미 담원전에서 드러난점도 솔직히 악재였다고 봅니다.
오늘 있었던 결승전보다 더 손에 땀을 쥐게하는 혈전이었고, 솔직히 3:0이었지만 원사이드한 경기력은 아니었습니다.
다만 2연패를 하자 멘탈이 깨졌는지 3세트에서는 좀 의아한 판단속에 자멸했습니다.
그리핀과 SKT의 결승전. 솔직히 SKT가 우세해보였습니다.
팀 상성은 물론 그리핀이 우세하지만, 그리핀의 최근 폼은 결코 좋다고 할 수 없었습니다.
게다가 씨맥을 비롯한 감코진의 밴픽전략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되면서 정말로 손쉽게 SKT가 3승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탈리야 판테온등 깜짝 전략을 들고왔지만 솔직히 깜짝픽은 정규시즌에 효과가 크지 결승같은 다전제에서는 의문부호가 붙을 수 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그리핀 특유의 후반만보면서 전반부 소소한 이득은 무시하는 것이 악재가 되었는데, SKT는 포기하지 않고 물고 늘어지면서 오히려 그리핀이 꼬이고 말았습니다.
80억쓰고 3위라고 비난받았던 SKT가 늦게나마 탑미드의 부활과 팀워크를 맞추면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왕조의 재건. 현재 19SKT는 과거 최고였던 15나 13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만한 강팀입니다.
그리고 그리핀. 분명 작년에도 이번에도 돌풍을 일으켰으나 결국 자멸하고 말았는데요
밴픽과 좀더 과감한 운영을 익히지 않으면 다음 시즌에서는 준우승도 벅찰수도 있습니다.
킹존 드래곤 X. 모든 라이너들의 기량이 절정이었지만 SKT의 라이너들도 이에 밀리지 않았습니다.
3:0이었지만 내용 자체는 자강두천이었던 만큼 현재 기량을 유지해나가는게 가장 중요하겠죠.
담원 게이밍은 좋든싫든 계속해서 탑만 의지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결국 상위팀들에게는 통하지 않는다는게 드러났습니다.
아래쪽 라이너들의 기량향상이 매우 중요합니다.
샌드박스 게이밍은 1라운드때 그리핀을 제외하면 견줄 팀이 없어보였지만 결국 무너지면서 4위까지 미끄러지고, 와카전 패배로 5위로 마감했습니다.
폭발력이 줄었는데 특유의 불안정함은 더 커졌습니다. 썸머시즌은 뒷심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살아남은 한화, 젠지, 아프리카 역시 부족한점이 많았고요
이제 남은 건 승강전 뿐입니다.
터줏대감 진에어 KT가 살아남을지
아니면 샌박담원에 이어서 다시 챌린저스의 반란이 일어날지 기대되네요